반응형
f-string은 파이썬 3.6 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된 문자열 포맷팅 방법이라고 하는데, 사용방법이 이전보다 훨씬 더 간단해진 것 같아서 마음에 든다.
방법을 설명해보자면... 출력하고 싶은 내용 앞에 f를 쓰고, 변수값을 뒤에 따로 나열할 필요 없이 중괄호 안에 {변수명}의 형태로 넣으면 된다. 아래 예시를 통해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nickname = "해이나"
post = 112
blog_title = "디지털 노마드"
introduce = f"제 닉네임은 {nickname}이고, {blog_title}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post}개의 게시물을 작성했어요."
print(introduce)
# 결과값은 아래와 같이 출력
# 제 닉네임은 해이나이고, 디지털 노마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112개의 게시물을 작성했어요.
나는 앞으로 파이썬 문자열 포맷팅을 할 때에 f-string 방식을 애용할 듯 하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베이스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스타일 가이드 PEP8 살펴보기 (2) | 2021.06.12 |
---|---|
파이썬 불린(Boolean)과 and, or, not (0) | 2021.06.10 |
자료형 변환 & 문자열 포맷팅 예시 (0) | 2021.06.06 |
파이썬 문자열 안에 따옴표 쓰기 (0) | 2021.06.03 |
파이썬 사칙연산 (0) | 2021.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