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제 나는 머지를 할 수 있고, 컨플릭스가 발생했을 때 해결도 할 수 있다. 그럼 이번에는 이미 실행한 머지를 취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머지를 시도했는데
- 사실은 머지를 나중에 하고 싶었던 경우 (단순 실수)
- 컨플릭스가 발생한 파일인 너무 많아서 다시 수정한 후에 하고 싶은 경우
등의 이유로 머지 자체를 취소하고 싶을 수도 있다. 이럴때는 아래와 같은 커맨드를 사용하여 머지를 실행했던 사실을 완전히 없었던 일로 만들 수 있다.
이 커맨드를 실행하면 모든 코드들이 머지를 시도하기 전 상태로 돌아간다. 참고로 abort 단어의 의미는 '중단하다, 버리다, 취소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브랜치(branch)를 깃허브에 push 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볼 예정이다.
반응형
'개발 도구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D와 브랜치의 관계(개념, 원리) (0) | 2022.11.22 |
---|---|
브랜치(branch)를 깃허브(github)에 push하기 (0) | 2022.11.21 |
컨플릭트(Conflict) 났을 때 해결하는 방법 (0) | 2022.11.19 |
브랜치 머지(branch merge)하는 방법 (0) | 2022.11.16 |
맥북 업데이트 후에 git 에러 해결방법(xcrun error) (0) | 2022.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