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내가 운영하는 블로그는 수익형 블로그와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해서, 수익에 연연하지 않으려고 멘탈 관리를 하지만... 그래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좋은 것...👍🏻 가끔씩 애드센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나의 블로그가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 확인하는 일은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 중 하나이다.
그러다가 며칠 전,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들어갔는데 상단에 붉은색 경고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아니, 안 그래도 작고 소듕한 나의 수익에 심지어 손실 위험이 있다고? 정말 해도해도 너무하는군.......🫠
그건 아니될 말이지! 하지만 검색을 해보니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일이어서, 지체없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었다. 나와 같은 문구를 발견하고 당황한 분들을 위해서 블로그에 처리 방법을 공유하도록 하겠다.
위의 손실 위험 안내 문구 아래에 있는 '지금 해결하기' 텍스트를 클릭하면 추가 설명을 볼 수 있다.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려면 ads.txt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에 각 사이트의 루트 수준 도메인에 업로드하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친절하게도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도 함께 제공해준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살펴보니까 google.com으로 시작하는 한 줄짜리 일반 문서 파일이었다. (펍코드가 들어있어서 블로그에 공개를 하는 것은 어렵...) 고객센터 글을 읽어보니 규칙이 있어서 다운로드 하지 않고 직접 문서 파일을 생성해도 된다고 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더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구글 고객센터 ads.txt 가이드를 확인해보도록 한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7532444?hl=ko
Ads.txt 가이드 - Google 애드센스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파일 다운로드까지 진행했다면 티스토리 블로그의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한다. 우측 메뉴바에서 꾸미기 > 스킨 편집 메뉴를 선택한다.
스킨 편집 화면의 우측 상단에 보면 사용하고 있는 블로그 스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는 티스토리에서 기본 제공하는 북클럽(Book Club) 템플릿을 이용하고 있다. 제작자, 저작권 정보 옆에 있는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html 편집 화면의 우측 상단에 html, css, 파일업로드 - 탭메뉴 3개가 있다. 파일 업로드 탭을 선택하면 아래에 업로드되어 있는 파일 목록이 나온다.
하단에 있는 '추가' 버튼을 눌러서 방금 다운로드한 ads.txt 파일을 업로드한다.
이 곳에 업로드하면 이미지 경로로 들어가는 모양이다. 리스트에서 images/ads.txt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일이 추가된 것을 확인하고 다시 상단의 '적용' 버튼을 눌러주면 등록이 완료된 것이다. 변경사항이 반영되기까지 며칠이 걸릴 수 있다고 한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다 했으니 그냥 기다리면 반영이 될 것이다. 일주일 정도 기다려보고 그래도 계속 안되면 고객센터에 문의를 해보려고 한다. 그렇게 되면 다시 새로운 내용으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다.
'혼자서도 잘 해요 > T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폰트 임베딩하기(폰트 파일 티스토리 적용 방법) (0) | 2023.06.21 |
---|---|
티스토리 블로그 폰트 변경하기 - 세부설정 (2) | 2021.02.06 |
티스토리 블로그 폰트 변경하기 - 전체적용 (3) | 2021.02.06 |
티스토리 플러그인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기 (1) | 2020.11.07 |
티스토리 플러그인으로 코드블럭 꾸미기 (0) | 2020.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