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위 표현식이란, 정규 표현식 안에서 특정 패턴을 나타내는 표현식을 하나로 묶어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하위 표현식은 메타 문자 소괄호()로 나타내며, 아래와 같은 상황에 주로 사용한다.
가독성이 떨어질 때
정규 표현식을 사용할 때, 그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럴 때 하위 표현식인 소괄호로 묶어주면 표현식이 훨씬 한 눈에 들어와 이해하기 쉽다.
표현식을 반복해야 할 때
하위 표현식 뒤에 수량자를 붙이면, 소괄호 안에 있는 문자열을 반복할 수 있다. 정규 표현식을 훨씬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ex) 하위 표현식 ()를 사용하여 ip 주소를 간단하게 나타냄
논리 연산자 or을 사용할 때
문자들 사이에서 논리 연산자 or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or은 | 기호로 표시한다.
ex) 1900년대, 2000년대만 찾기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베이스 > 정규 표현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 표현식 - 플래그란? 몇가지 플래그 옵션 소개 (0) | 2023.07.07 |
---|---|
정규 표현식 - 단어 경계, 문장 경계 (0) | 2023.07.05 |
정규 표현식 - 수량자 (0) | 2023.07.04 |
정규 표현식 - 이스케이핑 (0) | 2023.07.04 |
정규 표현식 - 문자 클래스, 메타 문자 (0) | 2023.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