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스크립트가 있다.
일정한 규칙성이 있다면 반복문을 사용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우리는 함수(function)로 풀어낼 수 있다. 아래와 같이 함수식을 작성하여 표현할 수 있다.
첫번째 코드와 두번째 코드의 결과는 똑같이 보여진다.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자(argument)
아래 두개의 코드는 같은 값을 출력한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값을 갖고 싶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sum에 숫자 2와 3이 들어있다면 결과값으로 5를 출력하고, 3과 4가 들어있다면 결과값으로 7을 출력하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결과값으로 의도한 5, 7을 각각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함수이름인 sum 옆의 괄호()안에 있는 left, right를 매개변수(parameter)라고 한다. 그리고 함수가 호출될 때 함수로 값을 전달해주는 2와 3, 3과 4를 인자(argument)라고 한다.
리턴(return)
매개변수 값을 리턴을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함수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까지 생활코딩으로 강의를 들었는데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구글신님의 도움을 좀 받았다. 티씨피스쿨(TCP School)의 '함수의 기초' 페이지가 정리가 잘 되어 있는 것 같아 함께 보면 좋을 듯 하다.
www.tcpschool.com/javascript/js_function_basic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회사 업무와 육아, 공부를 병행하려니 좀처럼 진도가 나가지 않아서 답답하다. 하지만 그래도 포기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잘 할 수 있게 되리라 믿고, 토끼와 거북이 경주를 떠올리며... 토끼처럼 달릴 수 없지만 거북이처럼 끈기있게 가보도록 하자! 나님 화이팅!
※생활코딩 > WEB > WEB2 - JavaScript 강의를 통해 공부한 내용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베이스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자료형 타입(Java Script - Data type) (0) | 2021.07.12 |
---|---|
마우스 우클릭 & 드래그 방지 (5) | 2021.05.29 |
함수(function) 기초 (0) | 2020.08.20 |
반복문에 배열 활용하기 (0) | 2020.08.18 |
반복문(Loop) (0) | 2020.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