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스크립트에서도 반복되는 데이터들을 변수 선언해서 좀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변수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과일가게에서 사과는 1,000원 / 망고는 1,500원 / 멜론은 2,500원에 판매하고 있다. 사과 2개, 망고 1개, 멜론 1개를 구입했을 때 아래와 같이 총 금액을 구할 수 있다.
console.log(1000 * 2 + 1500 + 2500)
이러한 경우 총 금액을 구할 수는 있지만, 나중에 과일 종류가 많아지게 되면 금액을 일일이 찾아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오탈자가 발생하거나 금액을 착각했을 때 전부 찾아서 수정해주는 것이 어렵다. 이럴 때에 변수를 선언하여 과일 금액과 총 금액을 조금 더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 변수 선언
let applePrice;
applePrice = 1000;
// 변수 선언은 아래와 같이 줄이는 것 가능
let mangoPrice = 1500;
let melonPrice = 2500;
위와 같이 "let 변수명"을 입력하여 변수를 선언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등호(=)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같다'의 의미가 아닌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을 할당연산자라고도 부른다.
console.log(applePrice * 2 + mangoPrice + melonPrice)
변수 선언 후에는 위와 같이 코드를 입력하여 과일 구매 총 금액을 구할 수 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베이스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좋은 변수명 짓기 & 스타일 가이드 (0) | 2021.07.14 |
---|---|
자바스크립트 변수 var, let, const 차이 (0) | 2021.07.14 |
자바스크립트 자료형 타입(Java Script - Data type) (0) | 2021.07.12 |
마우스 우클릭 & 드래그 방지 (5) | 2021.05.29 |
함수(function) 기초 - 매개변수(parameter), 인자(argument), 리턴(return) (0) | 2020.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