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파일에 사용된 텍스트나 div 배경 등에 색상을 사용할 때는 CSS를 이용하면 된다. CSS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 세가지를 포스팅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색 이름 사용하기
우리가 사용하는 색상 이름을 바로 입력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p {
color: red;
background-color: white;
}
CSS에서는 140가지의 색상을 이름으로 지원한다고 한다. 아래 url을 클릭하면 지원하는 색상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black, white가 아닌 이상 색상을 세밀하게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어서 디자이너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이를 보완하여 더 다채로운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은 HEX, RGB를 사용하는 것이다.
https://www.w3schools.com/cssref/css_colors.asp
CSS Colors
CSS Colors Color Names Supported by All Browsers All modern browsers support the following 140 color names (click on a color name, or a hex value, to view the color as the background-color along with different text colors): For a full overview of CSS color
www.w3schools.com
RGB 사용하기
RGB 색상표기법은 rgb(red, green, blue) 형식으로 색상을 표현하는데, 각 요소에는 0에서 255사이의 숫자를 입력한다. 여기에 투명도를 더하고 싶다면 rgba(red, green, blue, alpha) 형식으로 blue뒤에 쉼표로 구분하고 네번째 자리에 불투명도를 표기해주면 된다. 투명도 표기법은 0~1까지 사용할 수 있고, 숫자가 적을수록 투명해진다. 0은 완전 투명, 1은 불투명이다. 예를 들어, 투명도 50%의 검정색, 투명도 30%의 노랑색을 표현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 투명도 적용하지 않음 */
p {
color: rgba(0, 0, 0); /* 검정색 */
background-color: rgba(251, 247, 17); /* 노랑색 */
}
/* 투명도 적용 */
p {
color: rgba(0, 0, 0, 0.5); /* 투명도 50% 검정색 */
background-color: rgba(251, 247, 17, 0.7); /* 투명도 30% 노랑색 */
}
HEX 사용하기
실제로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색상 표기법이다. RGB 순서대로 16진수로 변환하여 00~ff까지 두자리씩 표기한다. 여섯자리의 색상코드 앞에는 샵(#)을 붙인다. 숫자가 작을수록 어두운 색상으로 #000000은 검정색, #ffffff는 하얀색이다. 같은 숫자가 반복된다면 #000000 -> #000, #ffffff -> #fff 이런 식으로 줄여서 세자리로 표기해도 무방하다.
p {
color: #94FB11;
background-color: #3111FB;
}
마음에 드는 색상을 직접 골라서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추천한다. HEX, RGB 색상코드를 모두 제공하기 때문에 색상을 고르고 색상코드를 복사 붙여넣기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https://htmlcolorcodes.com/color-picker/
Color Picker — HTML Color Codes
Finding that perfect color is easier than you think. Use our color picker to discover beautiful colors and harmonies with Hex color codes and RGB values.
htmlcolorcodes.com
'퍼블리싱 & 프론트엔드 >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스 사이즈를 결정하는 box-sizing : content-box | border-box; (0) | 2021.08.07 |
---|---|
margin: 0 auto; 가운데 정렬이 되지 않을 때 (0) | 2021.08.02 |
클래스(class)와 아이디(id)의 차이점 (2) | 2021.07.15 |
<b>와 <strong>, <i>와 <em>의 차이 (0) | 2021.07.08 |
아이템(div)의 너비 설정하기 - flex item 속성(2) (0) | 2021.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