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데이터 타입들(Boolean / Null / Undefined / Number / String / Symbol)이 있는데, 이 중에서 문자열(String)과 숫자(Number)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문자열(String)
큰 따옴표, 혹은 작은 따옴표로 감싸서 표시한다.
ex) "Hello world" / 'hello world'
문자를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들은 정말 정말 정말~~~ 많다. 그 중에서 몇가지만 직접 해보자!
※참고 사이트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String (구글에서 Javascript string 이라고 검색)
.length : 몇 글자로 되어 있는가?
.toUpperCase() : 문자열을 대문자료 변환해서 반환
.IndexOf() : 주어진 값과 일치하는 첫번째 인덱스를 반환 / 일치하는 값이 없으면 -1 반환 / 대소문자를 구분함 / 아래 이미지에서 ('world')에 6이 출력된 것은 '여섯번째 시작되는 문자열에서 world가 시작된다'는 의미
.trim() : 공백을 없애 줌
숫자(Number)
Console창에 alert(1); 치면 결과값은 1이 나오고, alert(1+1); 치면 결과값은 2가 나온다. 알림창(alert)을 매번 띄우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alert를 생략하고 1+1 이라고만 쳐도 결과값 2를 얻을 수 있다.
★ 숫자에서는 산술연산자 사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산술연산자로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가 있다.
문자열과 숫자의 차이점
아래 결과값을 참고로 하여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다.
※생활코딩 > WEB > WEB2 - JavaScript 강의를 통해 공부한 내용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베이스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에서 태그 선택하기 (0) | 2020.06.07 |
---|---|
변수와 대입 연산(variable vs constant) /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0.05.23 |
JavaScript 기초(2) - 콘솔(console) 사용하기 (0) | 2020.05.17 |
자바스크립트 이벤트 종류(HTML Event Attributes) (0) | 2020.05.01 |
JavaScript 기초(1) - 특징, 이벤트 (0) | 2020.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