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 & 데이터베이스/JavaScript

변수와 대입 연산(variable vs constant) /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by ♥︎해이나♥︎ 2020. 5. 23.
반응형

위와 같은 코드에서 x와 y는 변수(variable)이고 1은 연결해주는 '='는 대입 연산자이다.

x는 대입 연산자에 의해서 값이 바뀔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변수'이지만 숫자 1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항상 상(常)자를 사용하여 '상수'라고 부른다. 따라서 상수인 1에 2를 대입하려고 하면 (1=2;) 오류가 발생한다.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아무말 대잔치 문장이 있다. 예시로 든 문장은 짧지만 만약에 아주 긴 문장이 있고, 해이나가 1억번 사용되었다고 가정한다. 만약 문장 내의 '해이나'라는 단어를 모두 'heina'로 바꾸고 싶다면... 난감하다. 때문에 name 값으로 '해이나'를 인식시킨 후에 "+name+"을 사용하여 문장을 작성한다.

-> 실행을 유보하고 싶을 때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엔터를 친다.

-> "+name+" 이라고 쓰면 문장 내에서 변수 처리가 된 것이다.

자동으로 name 자리에 해이나가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ame을 해이나에서 heina로 변경해 주면 된다.

단어의 갯수와는 상관없이 한번에 빠르게 바꿀 수 있다. 이러한 편의성과 효율성 때문에 변수를 사용한다.

-> 변수를 사용할 때에는 앞에 var을 붙여 주는 것이 좋다. (ex) var name = '해이나';

※생활코딩 > WEB > WEB2 - JavaScript 강의를 통해 공부한 내용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