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했다고 시간이 이렇게 빨리 가는지 벌써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다. 아직 시간이 좀 남았지만 나는 숙제는 빨리 끝내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타입이라, 회사 공지사항이 올라오자마자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 연말정산간소화 공제자료를 발급받았다. 홈택스 사이트가 알아보기 쉽게 잘 되어있어 하나도 어렵지 않지만 그래도 연말정산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정보를 공유하려고 한다.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공제자료조회/발급하는 방법
가장 먼저 할 일은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방문하는 것이다. 검색 포털에 '홈택스'라고 검색하거나 아래 url을 통해서 이동이 가능하다.
www.hometax.go.kr/ui/pp/yrs_index.html?isCdn=Y
국세청 홈택스
Copyrightⓒ National Tax Service. All rights reserved.
www.hometax.go.kr
연말정산 시즌이어서인지 홈택스 메인페이지가 아닌 임시화면으로 연결된다. 연말정산간소화 / 편리한 연말정산 / 부가가치세 전자신고서비스 / 홈택스 메인 - 4개의 서비스로 바로 이동이 가능하다. 연말정산 서류를 발급받을 것이기 때문에 첫번째에 위치한 "연말정산간소화(공제자료조회/발급)"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용자가 집중되는 기간인 1월 15일 ~ 25일까지는 연말정산 사용시간이 개인별 30분으로 제한된다고 한다. 30분이면 충분하므로 서두를 필요는 없다.
연말정산을 위해서 로그인을 진행해야 한다. 작년처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할 수도 있고, 공인인증서가 필요없는 간편서명 로그인을 할수도 있다.
나는 주로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간편서명 로그인을 진행했다. 본인 인증을 하려면 카카오톡 지갑을 생성해야 한다.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간편인증서비스 이용에 대한 동의 체크박스를 모두 체크한 후 인증 요청을 하면 카톡으로 인증 관련 메세지가 전송된다.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바로 인증에 성공하고 로그인이 가능하다.
로그인을 하고 나면 연말정산 간소화 이용 시 유의사항 팝업이 뜬다. 1월 20일부터는 최종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영수증 발급기관이 제출한 자료를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각 공제항목을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나는 작년 신규입사자가 아니라서 1월부터 12월까지 모든 기간을 선택했다. 해당 기간을 선택한 후에 중간 부분에 있는 버튼을 건강보험부터 기부금까지 순서대로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하면 된다.
각 항목을 클릭하면 아랫 부분에 해당 항목의 리스트와 총합계액이 나온다. 각각의 리스트 앞에는 체크박스가 있어서 연말정산에 포함시킬 것인지 제외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나는 작년에 안경을 새로 구매했는데 리스트에서는 누락되어 있어 안경구매정보도 추가했다.
모두 선택하고 나면 버튼의 돋보기 아이콘이 있던 부분에 금액이 표시된다.
항목, 총합계액을 모두 확인했다면 상단 부분의 한번에 내려받기 버튼을 클릭한다.
버튼을 클릭하면 소득, 세액 공제자료 내려받기 팝업이 뜬다. 문서열기암호(비밀번호)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나는 오프라인 출력물이 아닌 pdf 파일을 메일로 세무서에 제출할 예정이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았다. 팝업 하단의 "내려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가 다운로드된다. 미션 클리어~ 넘나 쉬운 것!
이 포스팅이 연말정산을 준비하는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자료 다운로드 뿐만 아니라 연말정산 결과도 미리 예상해 볼 수 있는데 이것도 다음 기회에 공유하도록 하겠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 (0) | 2021.01.26 |
---|---|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0) | 2021.01.23 |
정부24 주민등록등본 & 주민등록초본 발급하기 (0) | 2020.08.11 |
긴급재난지원금 농협 선불카드 잔액 조회(확인) (0) | 2020.05.20 |
긴급재난지원금 경기도민 실수령액 (0) | 2020.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