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9

VS Code 언어 변경하는 방법 VS code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자동으로 언어가 바뀌어 있었다. (why...?) 당황했지만 구글님의 도움으로 빠르게 복구했다. 이런 정보는 나눠야 제 맛이니까! VS Code 언어 변경하기 VS Code에서 커맨드 팔레트를 실행한다. 단축키는 MacOS의 경우 command + shift + P 이다. 그리고 language를 검색한다. Language를 포함하고 있는 여러 항목이 검색되는데 그 중에서도 Configure Display Language를 선택한다. 그 뒤 한국어(ko), English(en), 日本어語(ja) 등 원하는 언어를 선택해주면 된다. 언어를 선택하면 VS Code를 재시작해야 한다는 내용의 팝업창이 뜬다. 확인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가 시작되며 선택한 언어가.. 2023. 1. 3.
Permission denied (publickey). 오류 해결하기 나도 이제 버전관리를 할 수 있게 된 기념으로! 리액트 공부를 하며 깃허브에 정원을 꾸며 보기로 마음 먹었다. 그런데 로컬 레포지토리에 있는 내용을 깃허브에 업로드 하려고 하니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면서 진행이 되지 않았다. git@github.com: Permission denied (publickey).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 으아아아아아 깃허브가 나를 싫어한다아아아아아🫠 일단 정신줄을 잡고 구글신님께 도움을 청해 보았다. 먼저 이런 메세지가 뜨는 이유는 서버에 SSH Key가 없거나 손상이 되어서.. 2023. 1. 3.
리액트 개발자 도구(React Developer Tools) 설치하기 리액트 개발을 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리액트 개발자 도구 설치 방법 구글 검색 포털에서 '리액트 개발자 도구'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다. 리액트 개발자 도구 대신에 'React Developer Tools'라고 검색해도 된다.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면 구글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Chrome에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React Developer Tools의 추가 여부를 한 번 더 묻는 팝업창이 뜨는데 이것도 '확장 프로그램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확장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나면, 크롬 브라우저의 우측 상단에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표시된다. 만약 발견할 수 없다면 퍼즐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보일 것이다... 2023. 1. 2.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 & 개발모드 실행하기 리액트 환경 세팅을 마쳤으니 이제 본격 리액트 공부 시작이다. 누군가 말하기를, 개발 공부는 세팅이 반이라고 했는데... 정말일까? 세팅은 정말 빨리 끝났는데... 공부도 그렇게 휘리릭 되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바람과는 달리 엄청 헤매겠지...🫠)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기 위해 바탕화면(Desktop)에 폴더 하나를 만들었다. 폴더 이름(프로젝트명)은 react_study로 정했다. 그 다음 터미널로 이동해서 해당 폴더의 경로로 이동한 뒤에 npm init react-app . 이라는 명령어를 실행시켰다. 리액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npm init react-app # 디렉토리에 프로젝트를 생성 npm init react-app . # 현재 디렉토리에 .. 2023. 1. 2.
2023 e-프리퀀시 스타벅스 다이어리 플래너(Ritual Planner) 커피를 한 잔 두 잔 마시다보니 어느새 e-프리퀀시 스티커를 다 모았다. 스타벅스 굿즈를 좋아하지만 왠지 이번에는 못 받을 것 같아서 체념하고 있었는데... 아니 이렇게 좋을 수가? 그런데 이제는 증정품을 당일 예약으로만 수령할 수 있다고 한다. 오늘 오전 7시에 알람을 맞춰놓고 일어나서 가까운 스벅 매장에 예약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점심시간에 가서 다이어리를 가져왔다. 색상은 레드와 그린 - 두가지 색상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었는데, 결정장애로 고민하고 있는 나에게 "스타벅스는 그린이죠~!"라고 옆자리 동료가 말해주었다. 그 말을 듣고 0.5초만에 설득되어서 그린 색상을 선택했다...ㅋㅋㅋ 빳빳하고 부드러운 하드 커버 촉감이 좋다. 새 종이에서 나는 냄새도 좋고... (지금 그냥 기분 좋음 .. 2022. 12. 23.
버전관리가 필요 없는 파일 관리(.gitignore) 우리가 작업하는 프로젝트 안에는 버전관리가 필요 없는 파일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파일들까지 모두 커밋을 한다면 오히려 용량만 더 차지하고, 나중에 각 버전을 살펴볼 때에 가독성만 더 떨어뜨릴 것이다. 그러면 버전관리가 필요 없는 파일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gitignore 파일 생성하기 터미널에서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한 후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파일을 생성한다. touch .gitignore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명령이 성공한 것이다. 파일이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ls -al 커맨드를 입력하여 디렉토리를 살펴보면 된다. .gitignore 파일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 다음으로는 git이 무시해야 할 파일을 넣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깃허브에서 제공하.. 2022. 12. 22.
커밋 여러개를 하나로 만들고 싶을 때(git reset --soft) 여러개의 커밋을 하나의 커밋으로 합치고 싶을 때에 어떻게 하면 되는지 포스팅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문제 상황 예시 premium 브랜치에서 작업을 하고 Add factorial function과 Add factorial function2로 각각 커밋했다. 그런데 커밋 히스토리를 확인해 보니... 동일한 커밋이 두 개나 있으면 혼란스러울 것 같아서, 이 커밋들을 하나로 합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럴 때에는 예전에 소개했던 git reset 옵션을 사용해서 커밋을 합칠 수 있다. cf. git reset이 궁금하신 분들을 아래 링크 클릭! 2022.11.09 - [개발 도구/Git] - 특정 커밋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을 때(git reset) 특정 커밋 시점으로 돌아가고 싶을 때(git reset) .. 2022. 12. 22.
원티드 합격보상금 실수령액 & 뉴스타트 패키지 나는 지난 여름, 원티드를 통해서 구직을 하고 취업에 성공했다. 8월부터 출근한 회사에서 3개월 동안의 수습 기간을 잘 마치고 정직원이 되었다. 원티드에서는 입사한 지 3개월이 지나면 합격보상금 50만원과 입사 선물로 뉴스타트 패키지를 보내주고 있다. 그래서 지난 달에 신청 안내 카톡메세지를 받고 정보를 입력했다. 그리고 11월에 합격보상금과 뉴스타트 패키지를 받을 수 있었다. 2022.11.02 - [끄적끄적] - 원티드 합격보상금 & 뉴스타트 패키지 선택하기 원티드 합격보상금 & 뉴스타트 패키지 선택하기 나는 원티드라는 채용 사이트를 이용해서 이직에 성공했다. 8월 1일에 첫출근을 하여 3개월의 수습 기간을 마치고 드디어, 정직원이 되었다. 원티드에서는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취업에 성 heinaf.. 2022. 12. 21.
4분기 목표 어디까지... 회사에서 3분기 회고를 하며 4분기 목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적어서 공유했다. 자기계발 부분에 Git, 리액트, MySQL 온라인 강의를 듣겠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오늘 드디어 버전관리 git 강의를 마무리했다. 나는 코드잇 이라는 사이트에서 온라인 강의를 듣는데, 강의를 다 들어서 얼떨결에 코드잇 챌린지도 끝낼 수 있었다. git 공부 외에 나머지 것들은 모두 현재 진행중이거나 아직 시작도 못한 것들인데, 벌써 12월이 10일밖에 남지 않아서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할 것 같다. 그래도 시간 내어 조금씩 듣던 강의가 끝났고, 나는 이제 git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뿌듯하다. 다하지 못한 목표들은 다음 분기를 살아갈 나님에게 미루어 두고, 오늘은 강의가 끝난 것을 자축하는 걸로! (마침 오늘 또 회식... 2022. 12. 21.
2023년 공휴일, 2023년 달력, 내년 공휴일 총정리! 올해 이직에 성공하여, 나도 매일 출퇴근 하는 직장인이 되었기 때문에... 다른 직장인들과 마찬가지로 2023년 공휴일이 중요 관심사 중 하나가 되었다. 2022년을 마무리하며 2023년 공휴일이 얼마나 되는지 찾아보았는데, 나중에 찾아보기 위해 블로그에도 정리해 두려고 한다. 2023년 계묘년 공휴일 2023년의 공휴일은 총 67일이다. 신정과 부처님 오신날을 제외하면 모두 평일이라 그닥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1월 1일(일) 신정 1월 21일 ~ 24일(토~화) 설날+대체공휴일 3월 1일(수) 삼일절 5월 5일(금) 어린이날 5월 27일(토) 부처님오신날 6월 6일(화) 현충일 8월 15일(화) 광복절 9월 28일~30일(목~토) 추석 10월 3일(화) 개천절 10월 9일(월) 한글날 12월 25일.. 2022. 12. 19.